• ㅇㅇ 2024.06.09 10:58 (*.7.28.217)
    정말 이런 능력있는 분들이 연봉 수십억씩 받아야 되는거 아닌가 싶다..
    축구판보면 뽈좀 찬다고 수백 수십억씩 연봉 따박따박 받아가는거조면 좀 아닌것 같다..
  • ㅇㅇ?? 2024.06.09 11:19 (*.185.136.107)
    프로까지 안가더라도 복기가 가능한 수준이면 가능. 아마에서도 충분히 가능.

    복기자체가 탑티어 프로레벨의 전유물이 아님. 동네 기원에서도 일정수준의 복기는 하고, 아마에서도 레벨이 좀있으면 가능.
    물론 복기를 잘하는만큼 바둑을 잘두는건 아님.

    그리고 바둑이 보통 어느정도 패턴으로 이뤄지기때문에 복기가 엄청 어려운게 아님.
    이말은 일반적으로 복기가 가능한 레벨의 기사도, 쌩 초차와 하며 아무 의미없이 두는 수까지 다 복기할수있다라는건 아님.
  • 2024.06.09 12:04 (*.101.194.253)
    좋은머리로 바둑을 하지말고 과학계에서 일했으면 그정도는 줘야지
  • 상위 4프로 2024.06.09 12:38 (*.101.69.68)
    엔터테이너는 그 엔터테이먼트 시장의 크기만큼 연봉을 가져가면되는거다... 관중이많고 광고효과가 높은 EPL, NFL같은 리그 선수들은 연봉이많으면되고 보는사람이적은 스포츠시장은 연봉이 작은게 맞는거지

    그런의미에서 나라돈으로 운영하는 K리그도 말이안되는거고 각종 올림픽용으로 나라에서 실업팀운용하는것도 어이가없다... 그 돈으로 주민센터마다 탁구장, 베드민턴장 같은 생활체육인프라 구축하고 운동선수들은 그런데서 시민들 가르치면서 돈버는게 맞는거지...

    아무도 안보는 실업리그 선수뛰면서 연봉받아서 뭐하냐.
  • 1 2024.06.09 12:53 (*.116.87.233)
    예체능에서 연봉은 능력은 2순위고 1순위는 장르의 수익성에서 나오는거다.
  • ㅇㅇ 2024.06.09 16:41 (*.7.28.217)
    그러니깐 능력이 너무 저평가 받는다는거지
    사실 이세돌 이창호 9단은 축구로 치면 메시 호날두 인대
    인마들은 뽈좀 찬다고 연봉 수백 수천억씩 따박따박 가져가는데
    이게 상대적으로 말이 되냐는게 내 말이야..
    축구 인기있는거 알겠는데, 너무 양극화됐단말이지..
  • . 2024.06.09 17:04 (*.21.134.164)
    아니 그러니까 애초에 그 분야가 재미가 있어야 돈이된다고요. 아무도 안보면 아무리 대단한들 돈을 왜주냐. 자본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해좀 해라
  • 1 2024.06.09 21:16 (*.116.87.233)
    2024포브스 선정 스포츠선수 연봉 순위 top50 에 종목이 축구,야구,농구,풋볼,골프,레이싱,복싱 딱 7개네, 메이저 스포츠들 뿐.
    저 스포츠들 대비 바둑에서 수익성 뭐로 찾아야 하니

    관중들 바글바글하게 모아서 표장사라도 할수 있나
    유니폼이 있어서 팔아먹을수나 있나
    절대 메이저가 될수 없는 이유로 그 스포츠 모르는 사람이 아무 지식 없어도 긴장감을 느끼고 스릴을 느끼고 쾌감을 즐길수 있기를 하나

    상금 주고 연봉 주고 할 사람은 뭐로 수익을 내서 주나

    이래도 1순위가 능력보다 장르의 수익성 이란 말 이해 못하면 뭐..
  • .. 2024.06.09 11:19 (*.113.103.113)
    19x19에서 좀 확장해봐
  • 조각 2024.06.09 15:41 (*.176.211.172)
    지금도 경우의 수가 10의 171승인데 한줄만 늘려도 이 세상 게임이 아니게 되버려.
  • 2024.06.09 16:38 (*.101.196.213)
    장기도 프로기사는 걍 안보고 쉽게 하더라
  • 표운 2024.06.09 23:57 (*.69.2.243)
    최초로 연 수입 10억을 넘긴 이창호가 은퇴 시 바둑기자가 지금까지의 상금 총 수입이 얼마냐고 물었지.
    이창호의 한 백억정도 된다는 말에 기자가 "그렇게 많아요?"하고 놀라자
    이창호가 세계 제일인으로서 너무 적은 금액이다. 다른 프로 스포츠를 보라고 말했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968 싱가폴을 유잼 도시로 만들었다는 공원 11 2024.06.18
1967 일본인들이 한국여행 정석 코스 21 2024.06.17
1966 350억원 재산 인증한 유튜버 9 2024.06.17
1965 통신비 잡겠다며 띄운 제4이통사 7 2024.06.17
1964 복싱은 근육으로 하는 게 아니다 21 2024.06.17
1963 휴진 반대 신경과 교수 22 2024.06.17
1962 남녀 스킨쉽에 관대한 일본의 소도시 8 2024.06.17
1961 다둥이집 고민 소식에 바로 달려온 공사업체 15 2024.06.17
1960 전국 재건축 아파트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17 2024.06.17
1959 지하철 냉방 민원 전쟁 24 2024.06.17
1958 손녀와 놀아주기 0티어 16 2024.06.17
1957 바 사장의 현실 9 2024.06.17
1956 필리핀에서 납치 당한 관광객들 9 2024.06.17
1955 자타공인 게임 폐인 은지원 10 2024.06.17
1954 불법 리베이트가 또 14 2024.06.17
1953 인심이 지나치게 좋은 아이스크림 가게 사장 5 2024.06.17
1952 시작 5분만에 빌런의 이유가 납득되는 영화 9 2024.06.17
1951 조진웅의 해명 2 2024.06.17
1950 하루 아침에 베스트셀러가 된 책 1 2024.06.17
1949 북한 8살 어린이가 죽은 이유 8 2024.06.17
1948 데드리프트 하다 블랙아웃 경험한 여성 13 2024.06.17
1947 SNS로 바람났다는 아내 11 2024.06.17
1946 어메이징 열도의 운전 문화 25 2024.06.17
1945 폭염 속 중국 학교 3 2024.06.17
1944 팬들 재산 탕진하게 만드는 아이돌 포토카드 15 2024.06.17
1943 택시기사의 이상한 제안 16 2024.06.17
1942 청주 시내 뒤덮은 낙서 15 2024.06.17
1941 북한에도 전기차가? 13 2024.06.17
1940 군대가 변하지 않는 이유 14 2024.06.17
1939 27세 탈모남의 퇴사 고민 11 2024.06.17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4 Next
/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