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케 2024.05.03 12:54 (*.65.127.111)
    아파보이냐
  • 1111 2024.05.03 15:57 (*.189.115.208)
    음식 선택도 다 돈이지. 신선식품 누가 좋은걸 모를까... 비싸 ㄷㄷ
  • 11 2024.05.03 20:23 (*.155.225.8)
    카니보어 다이어트 구만
    살빼는거 뿐만 아니라
    몸 고질병 좋아졌다는 후기도 많더라
    식단비용이 좀 들테지만(많이 비싼건 아님)
    다이어트 나 몸상태 안좋은 사람들
    카니보어 식단 검색해보시게
  • 121212 2024.05.03 22:45 (*.112.253.54)
    무가당 다이어트... 빡센데...한식 입장에선
  • 두잉 2024.05.04 12:56 (*.247.87.196)
    무슨 암 말기환자 같냐...
  • ㅅㅅㅅㅅㅅ 2024.05.04 19:54 (*.63.143.188)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는 암이고 2위는 심장질환임.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암과 심장질환을 걱정함.

    근데 인류 진화 역사를 보면 인간의 사망원인 1, 2위는 암과 심장질환이 아니었음.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아, 살인, 탈수, 감염증으로 죽었음.

    왜 사망원인 1, 2위가 바뀐 걸까?? 인간의 진보속도와 진화 속도의 불일치때문임.

    인간의 기술 진보 속도는 엄청 빠른데 진화의 속도는 너무 느려서 우리의 뇌는 여전히 사바나 숲속에 살던 원시인의 뇌임.

    사바나 숲속에서는 먹을 것이 부족함. 기아는 생존에 가장 위협이 되기 때문에 우리의 뇌는 칼로리를 열망하도록 진화했음.

    소모되지 않는 칼로리는 뱃살의 형태로 저장되어 먹을 것을 못 찾았을 때 굶주림으로부터 보호해줌. 그래서 음식을 발견하면 한 번에 배가 터지도록 먹음.

    그런데 현대사회에서 이 열망이 문제가 됨. 너무 많은 음식을 먹고 너무 적게 움직이니까 뱃살이 늘어나고 비만과 당뇨병에 걸리게 됨.

    설탕과 밀가루를 너무 많이 쳐먹으니까 암과 심장질환이 사망원인 1,2위 인 것임.

    왜 이런 말을 구구절절하는 걸까? 인간의 본성이 이렇다는 걸 인식하는 게 변화의 첫걸음이기 때문임.

    건강챙길려고 영양제 한주먹씩 먹는 것보다 밀가루, 설탕 줄이고 소식하고 많이 움직이는 게 건강에 훨씬 좋음.
  • 1212 2024.05.05 05:43 (*.238.231.222)
    저 사람은 일단 소식, 적게 먹음.
    단백질로 비만일 때 커진 위 채우다가는 통풍 + 신장 질환 온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2415 하이키 옐 옆태 5 2024.03.19
2414 하와이안 피자의 비밀 5 2024.05.04
2413 하수구 아래 반지하 8 2024.05.22
2412 하룻밤에 천만원 가까이 결제 되었습니다 5 2024.05.06
2411 하루에 한 시간만 그림 그리는 작가 4 2024.04.04
2410 하루 아침에 베스트셀러가 된 책 new 2024.06.17
2409 하루 아기 손님만 30명 이상 받는 미용사 12 2024.06.05
2408 하루 60만원까지 받을 수 있는 직종 12 2024.05.15
2407 하네다 공항이 인천 공항보다 뛰어나다 6 2024.06.08
2406 필리핀으로 도주한 특수강도 3 2024.05.14
2405 필리핀에서 납치 당한 관광객들 1 new 2024.06.17
2404 핀란드식 아침식사 7 2024.04.24
2403 핀란드 초등학생 총기난사 사건 5 2024.04.04
2402 핀란드 영화 관람료 11 2024.04.17
2401 피해자라던 임창정 9 2024.03.20
2400 피해자 녹음 파일 JMS 측에 준 법원 9 2024.05.23
2399 피자 만들어 달라는 손자들 21 2024.04.26
2398 피시방서 목에 칼침 맞았다 11 2024.05.09
2397 피부과에서 프로포폴에 중독되는 과정 10 2024.03.24
2396 피부 좋아지는 방법 64 2024.04.11
2395 피꺼솟 하게 만든 요청사항 18 2024.06.09
2394 플로리다에 항복한 디즈니 5 2024.03.30
2393 프로포즈 및 결혼이 힘든 이유 25 2024.05.15
2392 프로파일러가 말하는 연쇄방화범 특징 10 2024.06.14
2391 프로이센의 영조 6 2024.06.11
2390 프로그램 장르 바꾸는 백종원 6 2024.05.24
2389 프로 복서가 된 49살의 장혁 16 2024.05.16
2388 프랑스인 와이프가 이해못하는 한국 문화 19 2024.06.12
2387 프랑스의 평온한 일상 3 2024.05.04
2386 프랑스가 교복 부활을 고민하는 이유 9 2024.03.2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88 Next
/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