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ㅇㅇ 2024.05.08 13:32 (*.190.6.35)
    한국 부동산은 한국이 섬나라나 마찬가지라 고립된 지역인데다 원화가 지역화폐라 원화 유동성이 갈 곳이 없어서 잠기는 기형적인 구조란 말이지

    문제는 앞으로도 이런 구조가 바뀔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차곡차곡 부동산에 모든 병폐가 집중적으로 쌓일 수 밖에 없음
  • ㅅㅅㅅ 2024.05.08 14:09 (*.85.113.225)
    그래 대구시청이 뭔 잘못이냐 원칙대로 한건데~
    저 건설사가 다 잘못이지... 어떤 일이 생기든 고객돈을 받았으면 해놓아야지~
    돈 모자라다고 배째라고 하는 격이니... 애초에 저런 부실한 곳에 계약, 중도금 준 입주민들만 당하는거지
  • ㅇㄹ 2024.05.10 15:01 (*.76.238.190)
    ㅋㅋㅋ 돈이 모자라는데 어떻게 살수있다는 말이야? 공사비와 금융비가 천재지변 수준으로 천정부지로 높아져서 시행사가 이익이 없는데 시행사는 공익사업자가 아니야? 이 상황은 현실적으로 상황을 못풀어낸 지자체 잘못이 맞다고 본다.
  • ㅁㅁ 2024.05.08 19:00 (*.88.76.253)
    선분양 후 입주가 없어져야 한다..신용이 있는 사회라면 기업과 수요자가 서로 이득되는 시스템이지만 신용이 없는 사회에서는 저런 문제들이 계속 생길 수 밖에 없다.
  • 12 2024.05.08 19:58 (*.169.231.129)
    선분양 제도가 폐단도 있겠지만 큰 관점에서 경제성장과 효율적인 주택공급에는 훨씬 장점이 많아

    돈 쌓아두고 지어서 판매하는 건설사 재벌들 끼리만 경쟁할텐데 담합하고 시장질서가 망가질게 뻔함 그자체가 자본주의하에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생각은 안해봤나

    돈주고 봐주고 하는 시대는 많이 나아졌다.
    부실 날림공사는 감리와 특검, 입주자사전점검 등 다양한 제도로 나아지고 있고 언론의 정화작용도있음

    당장 사법부만 봐도 언더도그마는 논외로 치더라도 거진다 약자의 편이지 특히 다수대 소수(기업)면 특히

    대법원도 말고 고등법원만 가더라도 건설사랑 입주민이랑 한소송 거의다 입주민편이야


    그거보다 양극화되어있는 사회구조가 더 문제 지
    늘어가는 인건비에 공사비상승에
    후분양 한다면 집은 살수나 있겠나? 후분양 하면서 분양가 상한제 할 수나 있겠냐고
    그나마 분양가 상한제에 청약 제도가 투명한편이니 서민들은 그거라도 노릴 수 있는거
  • 1 2024.05.09 11:58 (*.246.68.183)
    시행사가 배째도 정부에서 방치하는게 문제지. 다 연결되어있거든.
  • ㅅㅈ 2024.05.09 11:02 (*.39.168.36)
    신용으로만 이뤄지던 분양인데 후분양을 하되,
    문제가 생기고, 해결이 안되면 징벌적 손해배상을 하게끔
    법을 고쳐야함, 그리고 건설사에도 점수 등급을 메겨서 올바른
    경쟁을 시켜야 됨. 건설사 재정 건강도 보고 건설허가도 좀
    내어주고 면허증만 있으면 다 짓다보니깐 개판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848 강의 도중 체포 당한 대학교수 12 2024.04.18
1847 크로아티아 남자 만났던 한국 여성 7 2024.04.18
1846 불금에 외출 안 하는 이유 7 2024.04.18
1845 유전자 조작을 통한 생물학 무기 7 2024.04.18
1844 리메이크 힘들 거 같은 드라마 18 2024.04.18
1843 독립한 아들 집에 처음 놀러간 부모 8 2024.04.18
1842 치킨집들의 아우성 28 2024.04.18
1841 금팔찌 사는 척 줄행랑 8 2024.04.18
1840 게임에서도 팁 주는 문화가 필요하다? 10 2024.04.18
1839 밝혀지지 못한 진실 52 2024.04.18
1838 영국에서 통과된 담배금지법 16 2024.04.18
1837 시트콤보다 더한 실제상황 중계 4 2024.04.18
1836 편의점 물가도 속속 인상 41 2024.04.18
1835 생수 주문으로 택배기사 괴롭힘 28 2024.04.18
1834 딸들이 직접 찍어 줬다는 프로필 사진 11 2024.04.18
1833 홍석천 생일 파티 가려고 줄을 서는 이유 5 2024.04.18
1832 서울과 뉴욕의 카페 창업 비교 20 2024.04.18
1831 양치기가 450만 팔로워 되는 법 14 2024.04.18
1830 한 때 잘 나가던 도시 19 2024.04.18
1829 대부분의 운전자가 모르는 사실 9 2024.04.18
1828 오덕들에게 깊게 들어가시는 분 7 2024.04.19
1827 장모님 가석방 다시 심의 17 2024.04.19
1826 학령인구 급격한 감소에 결국 8 2024.04.19
1825 선크림 생활화의 위력 12 2024.04.19
1824 애플 주주들이 스티브 잡스 자녀 신경 안 쓰는 이유 25 2024.04.19
1823 조폭들이 빌라에 침입해 무단 점거 4 2024.04.19
1822 지하철에서 인종차별로 오해받는 행동 7 2024.04.19
1821 성 무고로 징역 2년 6개월 판결 받은 남자 17 2024.04.19
1820 주윤발을 만나기 위해 기다린 4일 7 2024.04.19
1819 도시락의 배신 7 2024.04.19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74 Next
/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