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스쿨 2024.03.23 16:52 (*.179.29.225)
    의대 빼고 쓰레기된지 오래지
    특히 문과는 이제 사법고시도 없고
  • vsadf 2024.03.23 19:42 (*.204.98.2)
    그래서 학력이 어떻게되시는지 ㅋㅋㅋ
  • 2024.03.23 20:38 (*.101.194.209)
    서울대가 쓰레기라는 새키는 어디 하버드 나온건가?ㅋ
  • 2024.03.23 23:35 (*.234.196.73)
    의대 나왔나보지
  • 1 2024.03.23 17:14 (*.134.106.129)
    서울대가 서울대긴 하겠지만 옛날의 그 느낌은 안나더라
  • 111 2024.03.23 22:09 (*.35.161.151)
    써울대 ㅄ들이니까 그렇지
    늬들이 뭐 똑똑해??????
    상상하니?
  • Magneto 2024.03.23 22:55 (*.172.115.109)
    경제성장률 낮아진건 회복 기미가 안보이고 인구구조가 개박살났는데, 이미 상위 1% 아닌 이상 해외진출 말고는 답이 없지
  • 당백호 2024.03.24 06:14 (*.134.218.203)
    재밌는 건 오히려 요즘은 90년대에 비해 해외 박사 유학 비율이 적어졌다는 거야. 일본처럼 되어 간다고 생각 되지. 오히려 외국에서 박사하러 한국 오는 경우도 많다. 파키스탄이나 인도, 중국 등지에서 공대에 박사로 와. 저기서 얘기하는 거랑 실제는 차이가 나지. 오히려 한국 고딩들이 희한하게 의대만 지원하는게 이상해. 솔직히 의사는 노동자거든 일하는 시간만큼 돈 버는. ㅡㅡㅋ
  • ㅅㅈ 2024.03.24 09:23 (*.63.143.188)
    많은 지식이 있으면 성공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래서 많은 지식을 때려 넣는 식의 학습을 한다.

    그런데 삶에서 성공하거나 자립하려면 많은 지식이 아니라 깊은 사고력이 있어야 한다. 독서나 글쓰기, 토론을 통한 사고력을 키우는 학습을 해야 한다. 한국식 입시위주의 학습은 사고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는 학창시절 수학 성적이 중간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1년만에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시인이 되겠다고 1년간 도서관에서 문학책을 읽으며 글쓰기를 했다. 그러다가 글쓰기에 한계를 느끼고 시인의 꿈을 포기하고 , 과학 기자가 되기 위해 재수 학원에 들어가 입시 공부를 한다. 이때 수학 실력이 늘어나서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했다.

    허준이 교수는 1년간 시인이 될기 위해 문학책을 읽고 글을 쓰면서 사고력을 키웠다. 이때 키운 사고력이 필즈상 수상에 기여한 것이다.

    우리 아이들도 이런 시간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1년 정도는 독서을 하고 글을 쓰고 토론하며 사고력을 키우는 시간이 필요하다.

    서울대생이 영어로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영어문법과 읽기만 하기 때문이다. 영어로 토론을 해야 한다. 그래야 영어실력도 늘고 사고력도 커진다.

    요즘 입시생들은 방대한 지식을 넣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책을 읽으며 생각하는 시간을 시간낭비라고 생각한다. 그시간에 수학문제를 풀고 영어단어를 더 외우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수업시간에 선생님에게 질문을 하면 선생님은 수업 끝나고 질문하라고 그런다. 많은 지식을 전달하려면 수업시간에 진도를 빨리 빼야 하기 때문이다. 대학교수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교수와 토론까지 한다.

    우리나라교육이 바뀌지 않는 한 한국에 희망은 없다.
  • 허준은의사냐 2024.03.25 01:35 (*.131.241.107)
    영어 말하기는 걍 안써버릇해서 그렇지 몇달만 하면 보통은 한다. 읽는게 어려운거지 ㅋ 영어 말좀하면 뭐 세상이 달라지니?
  • ㅇㅇㅇㅇ 2024.03.25 07:46 (*.241.167.77)
    평생그렇게 살아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898 관광객 800만원 찾아준 버스기사 6 2024.04.26
897 MZ 사장도 항복 선언 28 2024.04.26
896 우리나라 물가는 왜 이렇게 높을까 24 2024.04.26
895 카드 빚 개인회생 역대 최대 6 2024.04.26
894 영농후계자의 군복무 특이점 19 2024.04.26
893 개통 한달된 GTX-A 근황 18 2024.04.26
892 수명 다한 한국 경제 21 2024.04.26
891 올해도 세수 펑크 위기 40 2024.04.26
890 오박사와 금쪽이 엄마의 표정 주고받기 18 2024.04.26
889 북극 현지인들이 말하는 북극곰 8 2024.04.26
888 여행가서 현금 잃어버리는 건 다행 7 2024.04.26
887 코로나 백신의 부작용 27 2024.04.26
886 상위 0.1% 원숭이 11 2024.04.26
885 뉴욕 맨해튼에서 자차로 출퇴근 하면 13 2024.04.26
884 3천 원 한 끼 식품 인기 6 2024.04.26
883 이탈리아의 검은 페라리 5 2024.04.26
882 마요네즈 맛의 비결 13 2024.04.26
881 90년대 장동건 집 12 2024.04.26
880 식당에 매운탕 싸 온 손님 10 2024.04.26
879 신박한 쿠폰 사기 12 2024.04.26
878 전 국민 100만 원 기본소득 64 2024.04.26
877 피자 만들어 달라는 손자들 22 2024.04.26
876 트럼프 아들의 피지컬 8 2024.04.27
875 어린이집 설치에 반발 5 2024.04.27
874 라인 지분 팔고 떠나라 13 2024.04.27
873 반려동물 원인불명 급사 사태 25 2024.04.27
872 관심이 필요한 2024년 정은이 19 2024.04.27
871 의협 전 회장 민희진 저격 20 2024.04.27
870 씬도우 피자가 더 비싼 이유 14 2024.04.27
869 추해진 메이저리거 류현진 15 2024.04.27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81 Next
/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