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스쿨 2024.03.23 16:52 (*.179.29.225)
    의대 빼고 쓰레기된지 오래지
    특히 문과는 이제 사법고시도 없고
  • vsadf 2024.03.23 19:42 (*.204.98.2)
    그래서 학력이 어떻게되시는지 ㅋㅋㅋ
  • 2024.03.23 20:38 (*.101.194.209)
    서울대가 쓰레기라는 새키는 어디 하버드 나온건가?ㅋ
  • 2024.03.23 23:35 (*.234.196.73)
    의대 나왔나보지
  • 1 2024.03.23 17:14 (*.134.106.129)
    서울대가 서울대긴 하겠지만 옛날의 그 느낌은 안나더라
  • 111 2024.03.23 22:09 (*.35.161.151)
    써울대 ㅄ들이니까 그렇지
    늬들이 뭐 똑똑해??????
    상상하니?
  • Magneto 2024.03.23 22:55 (*.172.115.109)
    경제성장률 낮아진건 회복 기미가 안보이고 인구구조가 개박살났는데, 이미 상위 1% 아닌 이상 해외진출 말고는 답이 없지
  • 당백호 2024.03.24 06:14 (*.134.218.203)
    재밌는 건 오히려 요즘은 90년대에 비해 해외 박사 유학 비율이 적어졌다는 거야. 일본처럼 되어 간다고 생각 되지. 오히려 외국에서 박사하러 한국 오는 경우도 많다. 파키스탄이나 인도, 중국 등지에서 공대에 박사로 와. 저기서 얘기하는 거랑 실제는 차이가 나지. 오히려 한국 고딩들이 희한하게 의대만 지원하는게 이상해. 솔직히 의사는 노동자거든 일하는 시간만큼 돈 버는. ㅡㅡㅋ
  • ㅅㅈ 2024.03.24 09:23 (*.63.143.188)
    많은 지식이 있으면 성공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래서 많은 지식을 때려 넣는 식의 학습을 한다.

    그런데 삶에서 성공하거나 자립하려면 많은 지식이 아니라 깊은 사고력이 있어야 한다. 독서나 글쓰기, 토론을 통한 사고력을 키우는 학습을 해야 한다. 한국식 입시위주의 학습은 사고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는 학창시절 수학 성적이 중간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1년만에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시인이 되겠다고 1년간 도서관에서 문학책을 읽으며 글쓰기를 했다. 그러다가 글쓰기에 한계를 느끼고 시인의 꿈을 포기하고 , 과학 기자가 되기 위해 재수 학원에 들어가 입시 공부를 한다. 이때 수학 실력이 늘어나서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했다.

    허준이 교수는 1년간 시인이 될기 위해 문학책을 읽고 글을 쓰면서 사고력을 키웠다. 이때 키운 사고력이 필즈상 수상에 기여한 것이다.

    우리 아이들도 이런 시간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1년 정도는 독서을 하고 글을 쓰고 토론하며 사고력을 키우는 시간이 필요하다.

    서울대생이 영어로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영어문법과 읽기만 하기 때문이다. 영어로 토론을 해야 한다. 그래야 영어실력도 늘고 사고력도 커진다.

    요즘 입시생들은 방대한 지식을 넣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책을 읽으며 생각하는 시간을 시간낭비라고 생각한다. 그시간에 수학문제를 풀고 영어단어를 더 외우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수업시간에 선생님에게 질문을 하면 선생님은 수업 끝나고 질문하라고 그런다. 많은 지식을 전달하려면 수업시간에 진도를 빨리 빼야 하기 때문이다. 대학교수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교수와 토론까지 한다.

    우리나라교육이 바뀌지 않는 한 한국에 희망은 없다.
  • 허준은의사냐 2024.03.25 01:35 (*.131.241.107)
    영어 말하기는 걍 안써버릇해서 그렇지 몇달만 하면 보통은 한다. 읽는게 어려운거지 ㅋ 영어 말좀하면 뭐 세상이 달라지니?
  • ㅇㅇㅇㅇ 2024.03.25 07:46 (*.241.167.77)
    평생그렇게 살아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003 요즘 고독사 연령대 6 2024.05.29
1002 요즘 공연장 문화 17 2024.05.24
1001 요즘 교사들 불친절하다는 공무원 10 2024.06.18
1000 요즘 군대가 군대냐 13 2024.04.11
999 요즘 길거리에서 하나씩 사라지고 있는 것 16 2024.03.26
998 요즘 남자들 사상 기괴함 16 2024.04.13
997 요즘 당근 업자 근황 12 2024.06.04
996 요즘 뜬다는 어둠의 강형욱 30 2024.05.23
995 요즘 몽골 상황 18 2024.06.19
994 요즘 민감한 비계 삼겹살 18 2024.05.13
993 요즘 북한에서 유행 중인 챌린지 9 2024.05.12
992 요즘 수요가 많다는 1인용 캠핑카 36 2024.04.22
991 요즘 알리 직구가 느려진 이유 8 2024.04.17
990 요즘 여성들 헤르페스 감염 경로 19 2024.06.16
989 요즘 인천공항 입국심사 13 2024.05.03
988 요즘 자주 보인다는 천원빵 매장 8 2024.03.29
987 요즘 장기백수들이 많은 이유 27 2024.06.05
986 요즘 중딩들의 취미 17 2024.05.25
985 요즘 프리미엄 PC방 알바 8 2024.05.07
984 요즘 학교에서 유행한다는 놀이 17 2024.03.23
983 요즘 행시 출신 고위공무원 분위기 8 2024.05.03
982 요즘 호텔 빙수 가격 15 2024.06.16
981 요즘은 사라졌다는 10대 문화 7 2024.06.07
980 요트 타고 세계일주 15 2024.03.28
979 욕 먹고 있다는 나훈아 64 2024.04.30
978 용접공 비하 논란 34 2024.03.25
977 용진이형 인스타 근황 13 2024.03.28
976 용팔이 때문에 행복한 상황 6 2024.04.20
975 우리 건물은 8대의 주차가 가능합니다 14 2024.04.07
974 우리 아이 선크림 공지 안해준 학교 11 2024.05.04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91 Next
/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