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ㅇㅇ 2024.05.08 13:32 (*.190.6.35)
    한국 부동산은 한국이 섬나라나 마찬가지라 고립된 지역인데다 원화가 지역화폐라 원화 유동성이 갈 곳이 없어서 잠기는 기형적인 구조란 말이지

    문제는 앞으로도 이런 구조가 바뀔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차곡차곡 부동산에 모든 병폐가 집중적으로 쌓일 수 밖에 없음
  • ㅅㅅㅅ 2024.05.08 14:09 (*.85.113.225)
    그래 대구시청이 뭔 잘못이냐 원칙대로 한건데~
    저 건설사가 다 잘못이지... 어떤 일이 생기든 고객돈을 받았으면 해놓아야지~
    돈 모자라다고 배째라고 하는 격이니... 애초에 저런 부실한 곳에 계약, 중도금 준 입주민들만 당하는거지
  • ㅇㄹ 2024.05.10 15:01 (*.76.238.190)
    ㅋㅋㅋ 돈이 모자라는데 어떻게 살수있다는 말이야? 공사비와 금융비가 천재지변 수준으로 천정부지로 높아져서 시행사가 이익이 없는데 시행사는 공익사업자가 아니야? 이 상황은 현실적으로 상황을 못풀어낸 지자체 잘못이 맞다고 본다.
  • ㅁㅁ 2024.05.08 19:00 (*.88.76.253)
    선분양 후 입주가 없어져야 한다..신용이 있는 사회라면 기업과 수요자가 서로 이득되는 시스템이지만 신용이 없는 사회에서는 저런 문제들이 계속 생길 수 밖에 없다.
  • 12 2024.05.08 19:58 (*.169.231.129)
    선분양 제도가 폐단도 있겠지만 큰 관점에서 경제성장과 효율적인 주택공급에는 훨씬 장점이 많아

    돈 쌓아두고 지어서 판매하는 건설사 재벌들 끼리만 경쟁할텐데 담합하고 시장질서가 망가질게 뻔함 그자체가 자본주의하에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생각은 안해봤나

    돈주고 봐주고 하는 시대는 많이 나아졌다.
    부실 날림공사는 감리와 특검, 입주자사전점검 등 다양한 제도로 나아지고 있고 언론의 정화작용도있음

    당장 사법부만 봐도 언더도그마는 논외로 치더라도 거진다 약자의 편이지 특히 다수대 소수(기업)면 특히

    대법원도 말고 고등법원만 가더라도 건설사랑 입주민이랑 한소송 거의다 입주민편이야


    그거보다 양극화되어있는 사회구조가 더 문제 지
    늘어가는 인건비에 공사비상승에
    후분양 한다면 집은 살수나 있겠나? 후분양 하면서 분양가 상한제 할 수나 있겠냐고
    그나마 분양가 상한제에 청약 제도가 투명한편이니 서민들은 그거라도 노릴 수 있는거
  • 1 2024.05.09 11:58 (*.246.68.183)
    시행사가 배째도 정부에서 방치하는게 문제지. 다 연결되어있거든.
  • ㅅㅈ 2024.05.09 11:02 (*.39.168.36)
    신용으로만 이뤄지던 분양인데 후분양을 하되,
    문제가 생기고, 해결이 안되면 징벌적 손해배상을 하게끔
    법을 고쳐야함, 그리고 건설사에도 점수 등급을 메겨서 올바른
    경쟁을 시켜야 됨. 건설사 재정 건강도 보고 건설허가도 좀
    내어주고 면허증만 있으면 다 짓다보니깐 개판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955 제2의 푸바오 노림수 5 2024.04.08
1954 제 2의 전청조 케이스 4 2024.04.01
1953 정해놓고 살면 인생이 힘들어진다 10 2024.06.11
1952 정치에 뛰어들면 바보가 되는 이유 20 2024.03.28
1951 정치 댓글 달지 말라는 게임 유튜버 7 2024.04.13
1950 정준영 보도로 억울하게 욕 먹었던 기자 2 2024.05.26
1949 정원형 발코니 아파트 188 2024.03.19
1948 정신 나간 10대의 장난 12 2024.06.03
1947 정부의 직구 규제 철회에도 서울시는 마이웨이 20 2024.05.21
1946 정부에 대한 투쟁이 속죄 22 2024.03.15
1945 정보사 출신이 푸는 썰 9 2024.05.22
1944 점점 치밀해지는 보험사기와 마약 투약 5 2024.05.30
1943 점점 심해지는 악성 민원 8 2024.05.22
1942 점점 술잔과 가까워지는 남자 19 2024.05.17
1941 점점 더 자극적인 지옥을 보여주는 프로그램 25 2024.04.16
1940 점심 때마다 손이 덜덜 25 2024.05.16
1939 젊은층에 떠넘긴 빚의 굴레 28 2024.03.20
1938 젊은이들은 지방에 가는 게 답이다? 20 2024.04.19
1937 젊은 세대의 당뇨가 많아진 이유 7 2024.05.14
1936 젊은 부부가 컨테이너로 지은 집 12 2024.05.06
1935 절벽에 매달린 집 5 2024.05.13
1934 절대 공판장에 안 판다는 사장 14 2024.06.03
1933 전직 씨름선수 거인 배우 11 2024.04.12
1932 전쟁하려고 지은 아파트 19 2024.05.11
1931 전자담배 발명 보상금 달라 5 2024.04.26
1930 전어 손질의 달인 8 2024.04.05
1929 전세사기 회수금액 3% 14 2024.05.05
1928 전세계는 AI 반도체 전쟁 중 20 2024.03.17
1927 전설적 투자자 드러켄밀러가 말하는 투자 9 2024.05.09
1926 전설의 영업사원 22 2024.05.13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86 Next
/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