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스쿨 2024.03.23 16:52 (*.179.29.225)
    의대 빼고 쓰레기된지 오래지
    특히 문과는 이제 사법고시도 없고
  • vsadf 2024.03.23 19:42 (*.204.98.2)
    그래서 학력이 어떻게되시는지 ㅋㅋㅋ
  • 2024.03.23 20:38 (*.101.194.209)
    서울대가 쓰레기라는 새키는 어디 하버드 나온건가?ㅋ
  • 2024.03.23 23:35 (*.234.196.73)
    의대 나왔나보지
  • 1 2024.03.23 17:14 (*.134.106.129)
    서울대가 서울대긴 하겠지만 옛날의 그 느낌은 안나더라
  • 111 2024.03.23 22:09 (*.35.161.151)
    써울대 ㅄ들이니까 그렇지
    늬들이 뭐 똑똑해??????
    상상하니?
  • Magneto 2024.03.23 22:55 (*.172.115.109)
    경제성장률 낮아진건 회복 기미가 안보이고 인구구조가 개박살났는데, 이미 상위 1% 아닌 이상 해외진출 말고는 답이 없지
  • 당백호 2024.03.24 06:14 (*.134.218.203)
    재밌는 건 오히려 요즘은 90년대에 비해 해외 박사 유학 비율이 적어졌다는 거야. 일본처럼 되어 간다고 생각 되지. 오히려 외국에서 박사하러 한국 오는 경우도 많다. 파키스탄이나 인도, 중국 등지에서 공대에 박사로 와. 저기서 얘기하는 거랑 실제는 차이가 나지. 오히려 한국 고딩들이 희한하게 의대만 지원하는게 이상해. 솔직히 의사는 노동자거든 일하는 시간만큼 돈 버는. ㅡㅡㅋ
  • ㅅㅈ 2024.03.24 09:23 (*.63.143.188)
    많은 지식이 있으면 성공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래서 많은 지식을 때려 넣는 식의 학습을 한다.

    그런데 삶에서 성공하거나 자립하려면 많은 지식이 아니라 깊은 사고력이 있어야 한다. 독서나 글쓰기, 토론을 통한 사고력을 키우는 학습을 해야 한다. 한국식 입시위주의 학습은 사고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는 학창시절 수학 성적이 중간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1년만에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시인이 되겠다고 1년간 도서관에서 문학책을 읽으며 글쓰기를 했다. 그러다가 글쓰기에 한계를 느끼고 시인의 꿈을 포기하고 , 과학 기자가 되기 위해 재수 학원에 들어가 입시 공부를 한다. 이때 수학 실력이 늘어나서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했다.

    허준이 교수는 1년간 시인이 될기 위해 문학책을 읽고 글을 쓰면서 사고력을 키웠다. 이때 키운 사고력이 필즈상 수상에 기여한 것이다.

    우리 아이들도 이런 시간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1년 정도는 독서을 하고 글을 쓰고 토론하며 사고력을 키우는 시간이 필요하다.

    서울대생이 영어로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영어문법과 읽기만 하기 때문이다. 영어로 토론을 해야 한다. 그래야 영어실력도 늘고 사고력도 커진다.

    요즘 입시생들은 방대한 지식을 넣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책을 읽으며 생각하는 시간을 시간낭비라고 생각한다. 그시간에 수학문제를 풀고 영어단어를 더 외우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수업시간에 선생님에게 질문을 하면 선생님은 수업 끝나고 질문하라고 그런다. 많은 지식을 전달하려면 수업시간에 진도를 빨리 빼야 하기 때문이다. 대학교수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교수와 토론까지 한다.

    우리나라교육이 바뀌지 않는 한 한국에 희망은 없다.
  • 허준은의사냐 2024.03.25 01:35 (*.131.241.107)
    영어 말하기는 걍 안써버릇해서 그렇지 몇달만 하면 보통은 한다. 읽는게 어려운거지 ㅋ 영어 말좀하면 뭐 세상이 달라지니?
  • ㅇㅇㅇㅇ 2024.03.25 07:46 (*.241.167.77)
    평생그렇게 살아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2001 지하철 부정승차 제지하자 10 2024.03.28
2000 지하철 몰카범이 될 뻔 13 2024.05.20
1999 지옥 같았을 직장 21 2024.04.30
1998 지방을 태운다 라고 표현하는 이유 13 2024.05.13
1997 지방대 교수의 고충 5 2024.03.03
1996 지방 소멸에 대한 건축학과 교수의 생각 21 2024.05.03
1995 지방 도시 특성화 사례 6 2024.05.03
1994 지리산 흑돼지 순대라더니 4 2024.04.05
1993 지도자들이 핵전쟁을 두려워하게 된 계기 3 2024.03.30
1992 지금은 사라진 황당한 발명품 9 2024.05.16
1991 지금은 거의 사라진 식당 유형 8 2024.04.29
1990 지구종말을 대비한 지하 시설 12 2024.03.21
1989 지구가 똥으로 뒤덮히지 않는 이유 6 2024.04.06
1988 지거국 의대 정원 폭증 20 2024.03.16
1987 지갑에 남는 게 없네요 9 2024.04.15
1986 증원 신청 2천명 초과 11 2024.03.06
1985 중학생이 총책인 불법 도박사이트 10 2024.04.20
1984 중학생 끼리 칼빵 사건 16 2024.03.09
1983 중학교 부실 급식 논란 15 2024.05.08
1982 중학교 동창 폭행해 식물인간 만들었는데 11 2024.05.04
1981 중소기업 신입 개발자 경쟁률 상황 9 2024.03.13
1980 중소기업 다니다 경찰이 된 사람 10 2024.03.08
1979 중소기업 금지사항 14 2024.04.13
1978 중세시대의 성 문화 13 2024.03.31
1977 중세시대였으면 화형 당할 능력 8 2024.03.25
1976 중년 이후 장사하다 망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 6 2024.03.25
1975 중년 아저씨가 사모님을 모시고 사는 이유 8 2024.05.06
1974 중국인들이 제주도 부동산을 많이 산 이유 11 2024.03.30
1973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조조 14 2024.05.03
1972 중국인 부동산 투자 금지법 23 2024.05.12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83 Next
/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