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ㅔㅐ 2024.05.02 14:01 (*.44.60.100)
    자식 잘 키우셨네
  • ㅇㅇㅇ 2024.05.02 14:07 (*.44.60.100)
    부모님이 사랑으로 지식을 키웠다는 전제하에선
    경제적으로 좀 부족한 집들의 자식들이 잘 크는 거 같다.
    부모님에 경제적으로 너무 넉넉하면 내가 굳이 라는 미인드로 뭐 해드리려고 하는 거 같지 않아. 오히려 절세명분으로 살아계시는 동안 돈 한푼이라도 더 받으려는 느낌이 든다.
    나도 지금 하나뿐인 내 자식 해주고싶은 거 다 해주고 다 사주고 있지만 가끔은 이 아이도 살아가면서 결핍을 느껴야 하는데 하는 고민이 된다.
  • ㅇㅌ 2024.05.02 14:45 (*.101.195.88)
    아냐 꼭 결핍이 필요하진 않아. 너 말처럼 부모가 사랑을 많이 표현하면서 자식을 키웠다면, 자식은 대부분 부모 인성에서 크게 일탈하진 않더라. 어릴 때 굳이 결핍을 느끼게 할 필요는 전혀 없을 것 같고 해줄 거 해주고 대신 부모의 통제하에 두고, 청소년기부터는 슬슬 성인이 된 이후에는 선택도 자유 책임도 니 것이라는 교육만 틈틈히 해두고 실제로 본인이 선택하고 책임지는 케이스를 몇 번 경험만 하면 충분하다고 봐. 결핍이라는 것도 양날의검이더라. 저 미용사분을 얘기하는게 아니라.. 어려운 가정에서 성공한 훌륭한 사람이 많지만, 친구든 연인이든 부부든 실제 그 사람과 밀접한 관계가 되어보면 유년기의 결핍이 흉터처럼 성격의 모난 부분으로 새겨지게 된 사람도 참 많더라. 겉으로 보면 잘 안드러나지만..
  • 자식독립 2024.05.02 14:54 (*.237.125.10)
    나도 윗 형과 비슷한 고민중이었는데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 ㄱㄱㅁ 2024.05.02 20:51 (*.147.103.209)
    나는 결핍까지는 아니더라도 저렇게 해주고 싶은 거 다 해주고 다 사주는 건 그리 좋은지 모르겠다. 어린 나이에 명품 입고 갖고 싶은 거 다 가질 수 있으면 뭔가를 어렵게 얻는다는 성취감을 가지기도 어렵고 물질적인 것에 대한 소중함이나 간절함 같은 걸 모르고 클 수 있으니까.
    말로 가르치는 거랑, 본인이 직접 느끼는 거랑은 천지 차이일 거니까 말로 가르치면 된다 이런 소리는 큰 의미 없다고 본다. 갖고 싶은 게 있으면 비슷한 나이대에 적절한 용돈 받아서, 그거 아껴서 사고 그러는 게 필요하다고 봄. 돈은 정말 필요하다고 느낄 때 주면 됨.
  • st 2024.05.02 14:41 (*.235.85.64)
    확실히 부모는 자식의 거울이네
  • 2024.05.02 21:24 (*.101.65.102)
    딸 잘키우셨네
  • ㅠㅠ 2024.05.02 21:46 (*.107.109.52)
    손 빨간거 봐. 고생하는 티가 난다
  • ㅇㅇ 2024.05.02 22:47 (*.187.23.71)
    현명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2078 솔루션 포기한 금쪽이 35 2024.04.06
2077 해외여행 중 방문한 이발소 8 2024.04.07
2076 경력 17년 고등어 봉초밥 달인 5 2024.04.07
2075 안 먹는 단무지나 샐러드 빼달라 했더니 14 2024.04.07
2074 과자 회사 연구원의 고발 6 2024.04.07
2073 우리 건물은 8대의 주차가 가능합니다 14 2024.04.07
2072 조선의 근접전과는 다른 유럽의 근접전 13 2024.04.07
2071 중국산 PC에서 발견된 것 13 2024.04.07
2070 영국인의 팩트 폭행 24 2024.04.07
2069 투명 방패 개발 7 2024.04.07
2068 한국 복귀한 류현진 현재 상황 27 2024.04.07
2067 결혼할 사람과의 성향 문제 38 2024.04.07
2066 군필들 지리는 상황 8 2024.04.08
2065 고구려를 멸망에서 구한 영웅 3 2024.04.08
2064 제2의 푸바오 노림수 5 2024.04.08
2063 외로운 청년들의 위안 11 2024.04.08
2062 공중파 NTR 레전설 8 2024.04.08
2061 안마기가 안 시원하다는 분 3 2024.04.08
2060 이스라엘의 구호단체 폭격 사건 9 2024.04.08
2059 47일간 참은 대변 7 2024.04.08
2058 수건 사용기한 논란 18 2024.04.08
2057 일본인들의 한국 이발소 vs 미용실 비교 체험 7 2024.04.08
2056 국제회의 통역사가 알려주는 영어 공부 팁 16 2024.04.08
2055 자꾸 징계 때리자 열받은 MBC 29 2024.04.08
2054 거장이 사라진 한국 영화계 17 2024.04.08
2053 완전히 망했다는 탕후루 매장 15 2024.04.08
2052 독일 대마초 합법화 20 2024.04.08
2051 이승만 찬양 논란 해명하는 강사 67 2024.04.08
2050 제자 작품 덧칠한 미대 교수 13 2024.04.08
2049 세기의 속도 대결 27 2024.04.0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