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스쿨 2024.03.23 16:52 (*.179.29.225)
    의대 빼고 쓰레기된지 오래지
    특히 문과는 이제 사법고시도 없고
  • vsadf 2024.03.23 19:42 (*.204.98.2)
    그래서 학력이 어떻게되시는지 ㅋㅋㅋ
  • 2024.03.23 20:38 (*.101.194.209)
    서울대가 쓰레기라는 새키는 어디 하버드 나온건가?ㅋ
  • 2024.03.23 23:35 (*.234.196.73)
    의대 나왔나보지
  • 1 2024.03.23 17:14 (*.134.106.129)
    서울대가 서울대긴 하겠지만 옛날의 그 느낌은 안나더라
  • 111 2024.03.23 22:09 (*.35.161.151)
    써울대 ㅄ들이니까 그렇지
    늬들이 뭐 똑똑해??????
    상상하니?
  • Magneto 2024.03.23 22:55 (*.172.115.109)
    경제성장률 낮아진건 회복 기미가 안보이고 인구구조가 개박살났는데, 이미 상위 1% 아닌 이상 해외진출 말고는 답이 없지
  • 당백호 2024.03.24 06:14 (*.134.218.203)
    재밌는 건 오히려 요즘은 90년대에 비해 해외 박사 유학 비율이 적어졌다는 거야. 일본처럼 되어 간다고 생각 되지. 오히려 외국에서 박사하러 한국 오는 경우도 많다. 파키스탄이나 인도, 중국 등지에서 공대에 박사로 와. 저기서 얘기하는 거랑 실제는 차이가 나지. 오히려 한국 고딩들이 희한하게 의대만 지원하는게 이상해. 솔직히 의사는 노동자거든 일하는 시간만큼 돈 버는. ㅡㅡㅋ
  • ㅅㅈ 2024.03.24 09:23 (*.63.143.188)
    많은 지식이 있으면 성공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래서 많은 지식을 때려 넣는 식의 학습을 한다.

    그런데 삶에서 성공하거나 자립하려면 많은 지식이 아니라 깊은 사고력이 있어야 한다. 독서나 글쓰기, 토론을 통한 사고력을 키우는 학습을 해야 한다. 한국식 입시위주의 학습은 사고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는 학창시절 수학 성적이 중간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1년만에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시인이 되겠다고 1년간 도서관에서 문학책을 읽으며 글쓰기를 했다. 그러다가 글쓰기에 한계를 느끼고 시인의 꿈을 포기하고 , 과학 기자가 되기 위해 재수 학원에 들어가 입시 공부를 한다. 이때 수학 실력이 늘어나서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했다.

    허준이 교수는 1년간 시인이 될기 위해 문학책을 읽고 글을 쓰면서 사고력을 키웠다. 이때 키운 사고력이 필즈상 수상에 기여한 것이다.

    우리 아이들도 이런 시간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1년 정도는 독서을 하고 글을 쓰고 토론하며 사고력을 키우는 시간이 필요하다.

    서울대생이 영어로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영어문법과 읽기만 하기 때문이다. 영어로 토론을 해야 한다. 그래야 영어실력도 늘고 사고력도 커진다.

    요즘 입시생들은 방대한 지식을 넣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책을 읽으며 생각하는 시간을 시간낭비라고 생각한다. 그시간에 수학문제를 풀고 영어단어를 더 외우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수업시간에 선생님에게 질문을 하면 선생님은 수업 끝나고 질문하라고 그런다. 많은 지식을 전달하려면 수업시간에 진도를 빨리 빼야 하기 때문이다. 대학교수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교수와 토론까지 한다.

    우리나라교육이 바뀌지 않는 한 한국에 희망은 없다.
  • 허준은의사냐 2024.03.25 01:35 (*.131.241.107)
    영어 말하기는 걍 안써버릇해서 그렇지 몇달만 하면 보통은 한다. 읽는게 어려운거지 ㅋ 영어 말좀하면 뭐 세상이 달라지니?
  • ㅇㅇㅇㅇ 2024.03.25 07:46 (*.241.167.77)
    평생그렇게 살아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010 늙어가는 나이키 28 2024.04.17
1009 시골에서 올라온 일본녀 5 2024.04.17
1008 20대 청년이 무리해서 내집 마련한 이유 6 2024.04.17
1007 이범수에 대한 폭로 11 2024.04.17
1006 소개팅에서 외모 지적 당한 남자 34 2024.04.17
1005 핫플레이스 성수동 근황 8 2024.04.17
1004 소비 말리지 말라는 배우 8 2024.04.17
1003 메이저리그 변칙 투구폼 13 2024.04.17
1002 혼돈의 재건축 스릴러 19 2024.04.17
1001 고물가에 손님 없어 폐업 속출 39 2024.04.17
1000 아직도 규명되지 않은 진실 47 2024.04.17
999 36살 약대 신입생 5 2024.04.17
998 임산부 조기퇴근은 민폐 20 2024.04.17
997 한국 지방축제에 간 일본녀 17 2024.04.17
996 명품을 좋아하는 부부 7 2024.04.17
995 버거킹 노이즈 마케팅의 속내 3 2024.04.17
994 IMF를 기다리는 공무원 13 2024.04.17
993 사우디 네옴시티 사실상 취소 17 2024.04.17
992 결혼식 없이 결혼했던 나르샤 13 2024.04.17
991 요즘 알리 직구가 느려진 이유 8 2024.04.17
990 청년 농부의 현실 2 2024.04.17
989 촬영 중 열받은 순간 8 2024.04.17
988 커리어하이 찍은 우리나라 기관 20 2024.04.17
987 어메이징 돈까스 뷔페 11 2024.04.17
986 핀란드 영화 관람료 11 2024.04.17
985 점점 더 자극적인 지옥을 보여주는 프로그램 25 2024.04.16
984 손님 얼굴 발로 밟는 직원 12 2024.04.16
983 국제결혼 하는 베트남 여성들의 속마음 16 2024.04.16
982 모두가 가난해졌다 44 2024.04.16
981 대만 피자헛 신메뉴 7 2024.04.16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85 Next
/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