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2024.05.03 00:07
정부는 4월까지 시범운영을 거친 뒤 신중한 검토를 거쳐 올해 안에 도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도로교통공단은 ‘차량 신호등용 잔여시간 표시장치 시범운영 연구’ 보고서에서 “(장치가 설치되고) 교차로 정지선을 통과하는 차량 간 속도 편차를 증가시켜 선·후행 차량 간 추돌사고 위험성이 증가하고,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에 위협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정지선 준수율과 신호 위반율 등 교통안전지표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사고 위험이 높은 딜레마 구간에 대한 경험률은 설치 전보다 설치 4주 후 평균 12.8%포인트 증가했다. 차들의 평균속도는 노란불이 2초 남았을 때부터 올라갔고, 정지선 통과 속도는 평균 10.7% 증가했다. 노란불이 끝나기 1초 전 최대 속도는 시속 61.9㎞에서 85.9㎞로 무려 38.8% 급증했다.

상반기 효과 분석 결과가 나오면 경찰청 교통안전심의위원회를 거쳐 도입 여부가 결정된다. 다만 사고 유발 우려 탓에 정부 안팎에선 제도 도입에 회의적인 의견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에선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들이 이 제도를 시행 중이지만, 중국의 경우 잔여시간 표시장치를 도입했다가 철거했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도입하지 않았다.

==========================
뭐 외국 어디?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