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ㅇㅇ 2024.04.08 12:37 (*.105.172.52)
    두꺼웠던게 어느순간 얇아지면 걸레로쓰다가 버림
  • ㅇㅇ 2024.04.08 13:23 (*.235.55.73)
    그냥 쓸 수 있을 때까지 씀
    유통기한 지났다고 버리는 건 좀 많이 낭비 같음
  • st 2024.04.08 13:24 (*.235.81.72)
    요즘엔 세탁기로 다 살균이 되어서 2년 3년 써도 됨
  • ㅇㅇ 2024.04.08 13:38 (*.234.197.144)
    세제를 뭐라고생각하냐 ㅋㅋㅋㅋ
    그거 자체가 살균인데 뭘또 살균을해
    비누로 손씻는게 별의별 ㅈㄹ떠는것보다 살균효과 더 높다
  • 2024.04.08 13:33 (*.101.194.89)
    식품도 아니고 뭔놈의 유통기한
    특별한 오염없이 물기닦는데 썼으면 잘빨고 잘 말리면 계속쓰는거지
  • ㅇㅇ 2024.04.08 13:42 (*.214.236.164)
    한달전즘 엄마집에서 88올림픽 기념 수건 하나 찾아내서 쓰고있다. 짱짱하다
  • Komaba 2024.04.08 23:26 (*.176.214.200)
    그건 안쓰고 보관해야되는거 아님??
  • 2024.04.08 13:46 (*.38.86.158)
    깔끔한척 하면서 유난떠는 사람들 있지. 그럼 ㅇㅇ은 왜써? ㅇㅇ도 주기적으로 교체하냐? 물어보면 아무말 못함. 그냥 어디서 줏어듣고 깔끔한척 하는데 놓치는 부분이 엄청 많음. 저런것도 그냥 패션 깔끔임.
  • ㅇㄹㅇㄹ 2024.04.08 13:55 (*.33.116.222)
    한번에 10개씩 사서,... 3~4달 쓰고 전면 교체~
  • 2024.04.09 07:18 (*.161.123.209)
    심하네 ㅋㅋ정신병있는듯
  • 2024.04.08 16:29 (*.101.193.201)
    10년은 넘게 쓰는듯
  • ㅁㅇㅁ 2024.04.08 17:19 (*.62.235.169)
    새수건보다 햇볕에 말린 수건이 냄새도 감촉도 더 좋아서 쓸수 있을때까지 씀. 물론 한번쓰고 빨지.
  • ㅎㅎ 2024.04.08 18:30 (*.93.18.148)
    해지지만 않으면 20년도 쓴다.
    어차피 세제 + 옥시크린 으로 다 살균되는데 굳이 ??
  • 12 2024.04.08 19:23 (*.235.7.172)
    우리 집에는 멸공 구호적힌 수건있다 ㅎㅎ
  • ㄹㅁㅈㄷㄹ 2024.04.08 20:02 (*.106.33.15)
    아부지 직장에서 받은 수건 아직 내가 쓰고있음 한 20년 된듯
  • 2 2024.04.08 20:02 (*.254.194.6)
    울집에도 10년 넘은 수건 많은데?

    수건을 사본적이 없음.

    죄다 돌잔치, 개업식, 칠순, 팔순잔치, 행사에서 많이 받아서.

    헌혈해도 받았네.

    그렇게 잘 쓰고 있었는데 얼마전 집사람이 수건들이 오래 됐다고 바꾼다네.

    호텔수건인가 뭐 좀 비싼 수건을 30장을 샀더라고.

    일반 수건보다 두배이상 두꺼움. 푹신푹신하고.

    근데 새수건은 원래 물 흡수를 잘 못하잖아.

    그래서 세탁 몇번 돌렸는데도 물기 흡수를 잘 못해. 워낙 두꺼운거라 그런지.

    그리고 집사람이 원래 저장강박증이 있어서 뭘 못버려.

    결국 집에 수건이 너무 많아서 미치겠다.
  • 아이고 2024.04.08 22:29 (*.26.217.23)
    아... 수건 잘못사셨네..
    물기흡수 못하는 수건이 따로 있습니다.
    잘 알아보고 사셨어야 하는데
    저희집도 그런 수건이 하나 있는데 시간 지나고 수십번 빨았어도 물기흡수 잘 못해요. 두꺼운것도 중요한데, 물기흡수 잘 되나 알아보고 사셔요
  • ㅇㅇ 2024.04.10 06:34 (*.217.159.130)
    수건에 교체 주기가 있다는 건 그냥 상술 같음. 오래 쓰면 감촉이 안 좋아지긴 하겠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972 논란의 법원 판결 14 2024.05.29
1971 논란의 비동의간음죄 38 2024.04.15
1970 논란의 아이패드 광고 8 2024.05.11
1969 논란의 제주도 아파트 13 2024.04.11
1968 논란의 책상 쾅 미팅 18 2024.05.29
1967 논산훈련소 앞에서 밥 먹고 충격 20 2024.03.25
1966 농산물 가격이 안정된 이유 21 2024.05.10
1965 농협이 또 해냈다 5 2024.04.09
1964 뇌졸중 발생하자 진료 기록 수정 10 2024.05.18
1963 누가 봐도 양희경 아들 2 2024.03.17
1962 누구 하나 죽어야 멈추는 얼차려 14 2024.05.30
1961 누구든 48년전 내 이력서보다는 훌륭할 것 9 2024.03.06
1960 누나만 8명이라는 영웅재중 8 2024.04.23
1959 누수 없다는 말에 빡쳐서 건물 뜯어버린 건물주 7 2024.05.05
1958 눈물로 선처 호소 9 2024.03.04
1957 눈이 오면 어김 없이 뿌리는데 3 2024.03.05
1956 뉴욕 맨해튼에서 자차로 출퇴근 하면 13 2024.04.26
1955 뉴욕 치킨 가게에서 인건비 줄이는 방법 13 2024.04.16
1954 뉴욕의 연봉 1억 5천 도그워커 6 2024.03.14
1953 뉴진스가 하이브 떠날 시 위약금 32 2024.05.19
1952 뉴진스님 하드캐리 불교 박람회 7 2024.04.11
1951 느타리 버섯이 육식 버섯인 이유 5 2024.05.24
1950 늙어가는 나이키 29 2024.04.17
1949 늙어가는 화물기사들 15 2024.03.20
1948 다급한 치어리더 5 2024.03.05
1947 다단계에 빠진 아내 21 2024.05.07
1946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한국 물가 9 2024.03.07
1945 다시 유행 중이라는 유선 이어폰 31 2024.04.22
1944 다시 태어난다면 와이프와 결혼 하겠습니까? 5 2024.05.15
1943 다이나믹한 대륙 시골 6 2024.05.08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