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12 2024.06.10 13:47 (*.57.171.43)
    메데인의 메트로케이블은 개인의 권리가 거의 없는 콜럼비아 이니 가능하지만, 이 땅에서는 케이블카에서 보이는 집 안 때문에 집들 바로 옆에 케이블카는 불가능.
    에스컬레이터는 고려해볼 만.

    그 이전에 한시바삐 ‘차고지 등록’ 법으로 정해서 도심 안의 필요 없는 차들 폐차시켜라.
  • 2024.06.10 15:56 (*.154.63.124)
    차고지 증명제를 하든, 시 전체 주차면수의 몇배수 정도로 총량 제한해서 순번제로 등록을 하든, 기부채납을 주차장으로 받든 뭔가 해야지 진짜 도시 전체가 거대한 주차장임. 미관상의 문제만이 아니라 도시 설계 자체가 제대로 작동하질 않아서 마비되기 직전임. 최소한 주차단속이라도 개빡세게 하든지 그것도 아니고 현기차 이제 클만큼 컸는데 적당히 좀 봐줘야지.
  • ㅁㅁ 2024.06.11 14:04 (*.33.164.79)
    케이블카 창 막아놓으면 안돼?
  • 1234 2024.06.10 14:00 (*.17.125.178)
    저걸 세금으로하면 누군가 또 부당이득을 보게되는거아니냐?
  • 사람사는거 안변해 2024.06.10 14:07 (*.23.34.100)
    구더기 무서워 장 못담근다라는 옛말이 있지.


    누군가 얻게 될 부당이득이 겁나니 모두 다 꼼딱마!! 가만히앉아있어!!
    한놈 잘되는 꼴 보는 게 젤 괴로우니 다같이 거지로 살자구!!
  • 바보냐 2024.06.10 14:20 (*.136.197.155)
    저거 설치한 주변 주민하고 에스컬레이터 수행회사가 이득을 보겠지
  • ㅇㅇ 2024.06.10 14:44 (*.70.0.202)
    고속도로도 마음대로 변경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저거는뭐..
  • ㅇㅇ 2024.06.10 15:41 (*.127.233.70)
    저게 정답이라고는 하지 않겠지만 이미 발전시킬대로 발전시킨 한강변에 더더욱 투자를 하는것 보다는 언덕위의 집들을 위한 개발을 하는것도 좋을것 같음.
  • ㅇㅇ 2024.06.10 16:09 (*.121.32.50)
    서울이나 부산이나 산 위에까지 올라간 낙후된집들은
    국가에서 매입해서 산으로 되돌리는게 맞다
    이제는 도시의 밀도를 떨어트릴 생각도 해야한다.
  • 1212 2024.06.10 18:13 (*.57.171.22)
    도심 속 산 복원 및 도시 밀도 조절 동의.
  • ㅇㅇ 2024.06.11 08:17 (*.38.86.29)
    전형적이네 그냥
  • ㅗㅗ 2024.06.11 22:27 (*.133.6.19)
    뭐가?
  • ㅇㅇ 2024.06.10 16:48 (*.38.86.26)
    저양반 대치랑 개포도 구분 못하더만
    세택에서 강의하고 개포동이라 적어놨더만
  • ㅇㅇ 2024.06.10 16:49 (*.101.195.125)
    우리나라에도 이미 있네~

    108계단 경사형 승강기 – 대한민국 용산 해방촌

    서울 용산구 용산2가동 해방촌 신흥로에는 108계단 중앙에 경사형 승강기가 있다. 서울 내 주택가에 설치된 첫 번째 경사형 승강기로 15명이 탈 수 있으며 계단이 시작하는 지점부터 꼭대기까지 1분 만에 이동이 가능하다.

    자전거로 언덕 올라가는거 생각나네...

    자전거 엘리베이터 – 노르웨이 사이클로 케이블

    노르웨이의 트론헤임(Trondheim)은 노르웨이에서 세 번째 큰 도시로 1925년 오슬로로 바뀌기 전까지 노르웨이의 수도였다.

    이 트론헤임에는 1993년 CycloCable이라는 세계 최초의 자전거 전용 리프트가 생겼다.

    경사진 언덕길에 설치된 이 리프트는 왼발을 자전거 페달에, 오른발을 리프트에 얹어 자동으로 올라가는 형태이다.
  • 1212 2024.06.10 22:23 (*.57.171.57)
    해방촌 일제 호국신사터 올라가던 108계단은 일제시대 수난사로 남겨놔야할 네거티브 문화재였지만, 웅변학원 원장 출신 부패 용산구청장 성장현이 그 문화재를 함부로 파괴 후 그 가운데에 뜬금없이 그 따위로 승강기를 설치.
  • ㅇㅇ 2024.06.11 09:10 (*.84.110.147)
    서울1급지 한강변 탑6 평지에서는
    이런거 깔 필요도 없다
  • 음.. 2024.06.11 17:49 (*.221.216.141)
    까는건 좋은뎀
    과연 저게 유지관리가 잘될까?
    지하철 에스컬레이터도 툭하면 고장나서 며칠씩 고치고 그러던데
    길거리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는 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968 싱가폴을 유잼 도시로 만들었다는 공원 11 2024.06.18
1967 일본인들이 한국여행 정석 코스 21 2024.06.17
1966 350억원 재산 인증한 유튜버 9 2024.06.17
1965 통신비 잡겠다며 띄운 제4이통사 7 2024.06.17
1964 복싱은 근육으로 하는 게 아니다 21 2024.06.17
1963 휴진 반대 신경과 교수 22 2024.06.17
1962 남녀 스킨쉽에 관대한 일본의 소도시 8 2024.06.17
1961 다둥이집 고민 소식에 바로 달려온 공사업체 15 2024.06.17
1960 전국 재건축 아파트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17 2024.06.17
1959 지하철 냉방 민원 전쟁 24 2024.06.17
1958 손녀와 놀아주기 0티어 16 2024.06.17
1957 바 사장의 현실 9 2024.06.17
1956 필리핀에서 납치 당한 관광객들 9 2024.06.17
1955 자타공인 게임 폐인 은지원 10 2024.06.17
1954 불법 리베이트가 또 14 2024.06.17
1953 인심이 지나치게 좋은 아이스크림 가게 사장 5 2024.06.17
1952 시작 5분만에 빌런의 이유가 납득되는 영화 9 2024.06.17
1951 조진웅의 해명 2 2024.06.17
1950 하루 아침에 베스트셀러가 된 책 1 2024.06.17
1949 북한 8살 어린이가 죽은 이유 8 2024.06.17
1948 데드리프트 하다 블랙아웃 경험한 여성 13 2024.06.17
1947 SNS로 바람났다는 아내 11 2024.06.17
1946 어메이징 열도의 운전 문화 25 2024.06.17
1945 폭염 속 중국 학교 3 2024.06.17
1944 팬들 재산 탕진하게 만드는 아이돌 포토카드 15 2024.06.17
1943 택시기사의 이상한 제안 16 2024.06.17
1942 청주 시내 뒤덮은 낙서 15 2024.06.17
1941 북한에도 전기차가? 13 2024.06.17
1940 군대가 변하지 않는 이유 14 2024.06.17
1939 27세 탈모남의 퇴사 고민 11 2024.06.17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4 Next
/ 74